TCP Protocol 구조
Sequence Number
- 송신 데이터 순서 번호
- 연결 초기 단계에서 초기 순서번호(ISN, Initial Sequence Number)를 상호간에 주고 받음.
- 0아닌 랜덤한 숫자
Acknowledgment Number
- ACK와 함께 해당 필드에 상대방이 다음에 전송할 순서 번호를 담아서 보냄
Control Flags
- URG(Urgent pointer in valid) : 긴급 데이터 설정
- ACK(Acknowledgment is vaild) : 수신확인 응답 설정
- PSH(Request for push) : 송수신 버퍼에 있는 데이터 즉시 처리
- RST(Reset the connection) : 연결 중단(강제 종료)
- SYN(Synchronize sequence numbers) : 연결 설정
- FIN(Terminate the connection) : 연결 종료(정상 종료)
사용 목적에 따른 포트 범위
well-known port(0~1023)
- FTP(21/tcp), TELNET(23/tcp), HTTP(80/tcp)
registered port(1024~49151)
- 제조사(vender)가 용도 등록해서 사용하는 포트
- MS-SQL(1433/tcp), Oracle(1521/tcp), MySQL(3306/tcp)
dynamic port(49152~65535)
- 동적으로 사용하는 포트.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 포트로 사용
사용 권한에 따른 포트 범위
priviledged port(0~1023)
- 관리자(root, administrator) 권한으로 사용 가능한 포트
unpriviledged port(1024~65535)
- 일반 사용자 권한으로 사용 가능한 포트
※ 출처 :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Segments and Fields (fiberbit.com.tw)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Segments and Fields
TCP is providing data delivery services while being located in Transport layer of OSI and TCP/IP models. TCP requires established connection before the data transmission begin, so it is called connection -oriented subprotocol. TCP is ensuring connection is
fiberbit.com.tw
'정보보안기사&CISSP관련 > Network 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y 118] TCP 연결 종료과정(4-Way Handshake) (0) | 2020.12.06 |
---|---|
[Day 117] TCP 연결 설정과정(3-Way Handshake) (0) | 2020.12.05 |
[Day 98] 라우터 보안 설정(2) (0) | 2020.11.16 |
[Day 97] 라우터 보안 설정(1) (0) | 2020.11.15 |
[Day 96] 라우터 접근제어 방식(standard access-list, extanded access-list) (0) | 2020.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