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 클래스 없는 도메인 간 라우팅 기법으로 기존의 네트워크 클래스 방식(A~E Class)을 대체함
- 사이더는 IP 주소의 영역을 여러 네트워크 영역으로 나눌 때 IP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줌
- CIDR은 172.31.0.0/16 과 같이 "/xx"를 붙여서 표기
- "/16"은 IP 주소에서 16bit 이후에 오는 16bit 전체를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
CIDR 계산 예시
- 172.31.0.0/16일 경우, 앞에서 16개 bit는 제외하고 뒤에 16bit 전체를 호스트로 사용할 수 있음
- 따라서, 사용 가능한 IP 대역은 172.31.0.0 ~ 172.31.255.255
- 192.168.0.0/20일 경우, 앞에서 20개 bit는 제외하고 뒤에 12bit 전체를 호스트로 사용할 수 있음
- 따라서, 사용 가능한 IP 대역은 192.168.0.0 ~ 192.168.15.255
- CIDR 계산 사이트
CIDR to IPv4 Address Range Utility Tool | IPAddressGuide
CIDR to IPv4 Address Range Utility Tool | IPAddressGuide
Free IP address tool to translate IPv4 address range into CIDR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format and vice-versa.
www.ipaddressguide.com
* 참고
[네트워크] CIDR이란?(사이더 란?) :: DM (tistory.com)
[네트워크] CIDR이란?(사이더 란?)
오늘은 CIDR에 대해서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네트워크 설계를 하면서 가장 많이 접하게 될 개념이 CIDR입니다. 사이더라고 부릅니다. CIDR의 full name은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으로 클래스 없는
kim-dragon.tistory.com
사이더 (네트워킹)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
사이더 (네트워킹)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이더(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CIDR)는 클래스 없는 도메인 간 라우팅 기법으로 1993년 도입되기 시작한, 최신의 IP 주소 할당 방법이다. 사이더는 기존의 IP 주소
ko.wikipedia.org
'Security & IT ter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y 160] DevOps (0) | 2021.01.17 |
---|---|
[Day 159] 동형 암호(Homomorphic Encryption) (0) | 2021.01.16 |
[Day 150] RAID (0) | 2021.01.07 |
[Day 149] OAuth(Open Authentication) (0) | 2021.01.06 |
[Day 147] Proxy Server (0) | 2021.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