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안기사&CISSP관련172 [Day 265] IMAP, POP3 IMAP(143/tcp), POP3(110/tcp) 공통점 : 메일 수신용 프로토콜 차이점 : IMAP은 POP3와 달리 메일서버에서 메일을 복사해오기 때문에 메일 서버에 메일이 지워지지 않고 남아 있음 2021. 5. 1. [Day 264] Run Level Run Level 시스템의 운영 상태를 숫자 또는 문자로 표현한 것 유닉스/리눅스 시스템 관리자가 시스템 관리의 편의성을 증대하기 위해서 사용 필요 시에는 유닉스 부팅을 변경하여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못하게 하거나, 다른 사용자가 접근하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 유닉스 런 레벨(5) : 시스템의 Power Off 모드 리눅스 런 레벨(5) : X윈도우 환경으로 실행된 멀티유저 실행모드 * 출처 : 알기사 정보보안기사 실기 2021. 4. 30. [Day 262] /dev/null 장치파일 /dev/null 장치파일 /dev/null은 특수한 장치파일로 해당 파일로 출력하면 이를 모두 버리는 역할을 수행함 윈도우의 휴지통과 유사한 기능이지만 복원은 불가 표준 출력은 출력되지 않게 하려면 /dev/null 장치파일로 출력 재지정 >/dev/null 표준에러(2)도 표준출력(&1)으로 출력 재지정(2>&1)하여 표준출력과 동일하게 /dev/null 장치파일로 버릴 수 있음 crontab 설정 예시 0 3 * * 0 /bin/rm -rf /tmp/* >dev/null 2>&1 일요일 03시에 /tmp 아래 모든 파일을 삭제하고, 명령 실행 후 표준출력, 표준에러는 /dev/null로 보내서 화면에 출력하지 않음 *연관지식 : remybaek.tistory.com/35 [Day 30] cronta.. 2021. 4. 28. [Day 261] Fail Safe, Fail Secure Fail Safe(장애 안전) 장애 발생 시 모든 기능을 허용하는 정책 스위치와 같은 네트워크 장비는 가용성을 더 중시하기 때문에 대부분 Fail Safe 정책을 따름 장애 발생 시 모든 트래픽을 허용한다는 의미로 'Fail Open'정책이라고도 함 Fail Secure(장애 보안) 장애 발생 시 모든 기능을 차단하는 정책 스위치와 같은 네트워크 장비가 Fail Secure 정책을 따른다면 장애 발생 시 모든 트래픽을 차단하고 동작을 하지 않음 장애 발생 시 모든 트래픽을 차단한다는 의미로 'Fail Close'정책이라고도 함 가용성보다는 보안성을 더 우선시하는 정책 * 출처 : 알기사 정보보안기사 실기 2021. 4. 27. 이전 1 ··· 4 5 6 7 8 9 10 ··· 43 다음